오라클 SQL, 변환 함수(Conversion Function), CHARTOROWID, TO_CHAR, TO_DATE, TO_NUMBER, 형변환
http://ojc.asia/bbs/board.php?bo_table=LecSQLnPlSql&wr_id=612
4.3 변환 함수(Conversion Function)
변환함수는 숫자, 문자, 날짜 형 사이의 변환을 수행하는 함수이다. 여러 종류가 있지만 자주 사용되는 변환 함수 몇 가지에 대해 알아보자.
CHARTOROWID(char) : VARCHAR2 또는 CHAR Type을 ROWID Type으로 변환 한다.
TO_CHAR(datetime|number [,fmt]) : 숫자나 날짜형 자료를 fmt 형식에 맞춰 문자로 변환 한다.
TO_DATE(char, [,fmt]) : fmt 형식의 문자를 Date값으로 변환 한다.
TO_NUMBER(char [,fmt]) : 숫자형태의 문자 char를 숫자로 변환 한다.
[TO_CHAR, TO_DATE에서 사용할 수 있는 Format 형식]
YYYY or SYYYY : 년도를 지칭하며 S를 앞에 붙이면 기원전 년도인 경우 ‘-‘가 붙음
YYY or YY or Y : 년도의 마지막 3자리, 2자리, 한자리
IYYY : 4자리의 ISO 표준 년도 형식
SYEAR or YEAR : 영문으로 표기된 년도를 표시, 앞에 S가 붙으면 기원전 년도인 경우 ‘-‘가 앞에 붙음)
Q : 분기
MM : 월
MONTH or MON : 월의 영문 표기(9자리) 또는 3자리의 단축 표기
RM : 로마숫자 월
DDD or DD or D : 년,월,주의 몇번째 날 인가를 보여줌
WW or W : 년,월에서 오늘이 몇번째 주 인가를 보여줌
DAY or DY : 요일 명칭 또는 3자리의 단축형
AM or FM : 오전과 오후 표시
HH or HH12 : 시각(1~12)
HH24 : 시각(0~23)
MI : 분
SS : 초
[접미사]
TH : 서수로 표시(DDTH라고 하면 4TH와 같은 형식으로 나타남)
SP : 숫자를 철자로 보여준다.(DDSP à FOUR)
SPTH or THSP : 서수를 철자로 보여준다.(DDSPTH à FOURTH)
[숫자를 문자로 변환 할 때 사용하는 Format 형식]
9 : 숫자의 출력
0 : 숫자가 없는 경우 0을 표시, 숫자가 있으면 숫자를 표시
. : 소수점 자리 표시
, : 콤마 자리 표시
묵시적 형 변환
WHERE절 등에서 비교 타입이 다른 경우 내부적으로 타입 변환을 한다.
WHERE절에 숫자 = 문자 와 같은 비교연산을 수행 시 내부적으로 숫자를 기준으로 묵시적 변환을 시도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