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클 기본 SQL쿼리, SELECT
http://ojc.asia/bbs/board.php?bo_table=LecSQLnPlSql&wr_id=597
3.2 기본 쿼리문
3.2.1 SELECT문
테이블(Table)에서 DATA를 검색하기 위한 문장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SQL문장이다.
- 모든 SQL문장은 세미콜론(;)으로 종료 되어야 한다.
- SELECT… FROM…은 필수 입력 사항.
- SQL 구문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지만 문자상수(문자 리터럴)의 경우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where ename = ‘smith’, where ename = ‘ SMITH’은 두 조건절은 다른 의미다.)
- SQL키워드(SELECT, FROM, WHERE)는 주로 대문자로 사용하고 테이블명, 칼럼 이름은 소문자로 작성하는 것을 권장한다.
[기본형식]
SELECT : 추출하고자 하는 칼럼 나열(습관처럼 ‘*’ 사용하지 말고 필요한 칼럼 만 선택하라)
DISTINCT : 중복 제거, 같은 값이면 하나만 출력
FROM : 질의에서 필요로 하는 테이블 또는 테이블 역할을 하는 것을 기술(뷰, 인라인뷰, 가상테이블)
WHERE : 데이터 필터링, 행을 제한하거나 조인조건을 기술한다. WHERE 절을 사용하지 않으면 FROM 절에 명시된 테이블의 모든 ROW(로우, 레코드, 행)를 조회한다.
GROUP BY : 그룹핑 칼럼을 기준으로 한 그룹으로 묶어서 합계, 평균, 최대, 최소, COUNT등에서 사용
예 : MYEMP1 테이블에서 부서별로 급여의 평균을 추출
HAVING : 그룹핑 기준칼럼이나 그룹함수에 조건을 줄 때 사용한다.
ORDER BY : SELECT에서 추출하는 데이터의 정렬(기본 asc, 역순 정렬은 desc), 나타나는 칼럼의 순서를 기준으로 정렬하는 것도 가능하다.( order by 1). ORDER BY를 제외한 쿼리를 먼저 실행하고 ORDER BY의 조건에 따라 레코드를 정렬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