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클 SQL함수, 문자함수, UPPER, SUBSTR, SUBSTRB, LTRM, RTRIM, REPLACE, RPAD, LPAD, LENGTH, INSTR, INITCAP, CONCAT, ASCII, CHAR
http://ojc.asia/bbs/board.php?bo_table=LecSQLnPlSql&wr_id=609
4. SQL 함수
SQL 함수를 크게 나눈다면 단일 행 함수와 복수 행 함수 2가지로 구분 할 수 있다. 단일 행 함수는 각각의 행에 대해 수행 되어 행 당 하나의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이며 복수 행 함수는 여러 개의 행에 적용되어 그룹 당 하나의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이다.
집합 함수(Aggreation Function)는 복수 행 함수이고 나머지 함수 문자함수, 숫자함수, 날짜함수, 분석용 함수, 기타함수는 단일 행 함수이다.
4.1 문자함수
ASCII(C) : 인수C의 첫 문자를 ASCII 코드로 변환
CHR(n) : ASCII 코드 n에 대응하는 문자로 변환
CONCAT(c1, c2) : 문자열 c1과 c2를 덧붙인 문자열을 반환
INITCAP(c) : 인수 c의 각 단어의 첫 문자를 대문자로 나머지는 소문자로 변환
INSTR(c1, c2) : 지정한 문자가 위치하는 첫 번째 위치를 반환하는 함수이다. 즉 c1에서 c2가 나타나는 첫 번째 위치를 돌려준다. 지정된 문자가 문자열 내에 없을 때는 0을 RETURN한다.
INSTR(c1, c2, m, n) : c1에서 c2가 나타나는 첫 번째 위치를 돌려주는데 m번째부터 n번째 나타나는 지정한 문자의 위치를 검색한다. m이 음수이면 뒤에서부터 검색한다.
LENGTH(c) : 인수 c의 길이를 돌려준다.(한글도 1로 돌려줌)
LENGTHB(c) : 인수 c의 길이를 돌려준다.(바이트 단위)
LOWER(c) : 인수 c를 소문자로 변환한다.
LPAD(c1, n, c2) : 전체의 길이가 n이며 c1의 왼쪽을 c2로 채운다. 만약 c2가 생략되었다면 공백으로 채운다.
LTRIM(c, [,set]) : 인수c의 왼쪽부터 c가 아닐 때까지 set에 지정된 문자를 제거한다. 만약 set이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공백을 제거한다. 흔히 LTRIM은 set을 생략하여 좌측 공백을 제거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REPLACE(c, a, b) : 인수 c의 문자중에서 a를 b로 바꿈
RPAD(c1, n, c2) : 전체의 길이가 n이며 c1의 오른쪽을 c2로 채운다. 만약 c2가 생략되었다면 공백으로 채운다.
RTRIM(c, [,set]) : 인수c의 오른쪽부터 c가 아닐 때까지 set에 지정된 문자를 제거한다. 만약 set이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공백을 제거한다.
SUBSTR(c, m [,n]) : 인수 c의 m번째부터 n개 문자를 잘라낸다. n이 생략되면 c의 끝까지를 잘라낸다.
SUBSTRB(c, m [,n]) : 인수 c의 m번째부터 n개 문자를 잘라낸다. n이 생략되면 c의 끝까지를 잘라낸다.(byte단위 처리)
TRANSLATE(c, from, to) : 인수 c의 문자열에서 from에 해당 하는 것 들을 to에 해당하는 것으로 바꾼다.
UPPER(c) : 인수 c의 문자열을 대문자로 바꾼다.
ASCII(C) : 인수C의 첫 문자를 ASCII 코드로 변환
CHR(n) : ASCII 코드 n에 대응하는 문자로 변환
CONCAT(c1, c2) : 문자열 c1과 c2를 덧붙인 문자열을 반환
INITCAP(c) : 인수 c의 각 단어의 첫 문자를 대문자로 나머지는 소문자로 변환
INSTR(c1, c2) : 지정한 문자가 위치하는 첫 번째 위치를 반환하는 함수이다. 즉 c1에서 c2가 나타나는 첫 번째 위치를 돌려준다. 지정된 문자가 문자열 내에 없을 때는 0을 RETURN한다.
INSTR(c1, c2, m, n) : c1에서 c2가 나타나는 첫 번째 위치를 돌려주는데 m번째부터 n번째 나타나는 지정한 문자의 위치를 검색한다. m이 음수이면 뒤에서부터 검색한다.
LENGTH(c) : 인수 c의 길이를 돌려준다.(한글도 1로 돌려줌)
LENGTHB(c) : 인수 c의 길이를 돌려준다.(바이트 단위)
LOWER(c) : 인수 c를 소문자로 변환한다.
LPAD(c1, n, c2) : 전체의 길이가 n이며 c1의 왼쪽을 c2로 채운다. 만약 c2가 생략되었다면 공백으로 채운다.
LTRIM(c, [,set]) : 인수c의 왼쪽부터 c가 아닐 때까지 set에 지정된 문자를 제거한다. 만약 set이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공백을 제거한다. 흔히 LTRIM은 set을 생략하여 좌측 공백을 제거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REPLACE(c, a, b) : 인수 c의 문자중에서 a를 b로 바꿈
RPAD(c1, n, c2) : 전체의 길이가 n이며 c1의 오른쪽을 c2로 채운다. 만약 c2가 생략되었다면 공백으로 채운다.
RTRIM(c, [,set]) : 인수c의 오른쪽부터 c가 아닐 때까지 set에 지정된 문자를 제거한다. 만약 set이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공백을 제거한다.
SUBSTR(c, m [,n]) : 인수 c의 m번째부터 n개 문자를 잘라낸다. n이 생략되면 c의 끝까지를 잘라낸다.
SUBSTRB(c, m [,n]) : 인수 c의 m번째부터 n개 문자를 잘라낸다. n이 생략되면 c의 끝까지를 잘라낸다.(byte단위 처리)
TRANSLATE(c, from, to) : 인수 c의 문자열에서 from에 해당 하는 것 들을 to에 해당하는 것으로 바꾼다.
UPPER(c) : 인수 c의 문자열을 대문자로 바꾼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