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WPF 멀티쓰레드 프로그래밍
n 멀티쓰레드란 여러 개의 쓰레드가 동시에 특정 코드블럭을 실행하는 것이다.
n 멀티쓰레드는 모든 부분에서 사용가능 하지만 채팅 프로그램처럼 내가 글을 쓰는 동안에 상대방이 글을 보내면 빠르게 반응해서 UI 화면에 그려야 하는 경우등에 주로 사용된다.
n 모든 WPF 프로그램은 최소한의 렌더링을 위한 백그라운드 쓰레드와 UI 스레드(UI 인터페이스 관리) 두개의 쓰레드로 기동된다. UI 스레드는 사용자 입력을 받고 화면을 그리고, 코드를 실행하고, 이벤트 등을 처리한다.
n WPF는 기본적으로 STA(Single Thread Apartment) 모델을 지원하는데 하나의 쓰레드는 전체 응용프로그램에서 실행되고 모든 WPF 객체를 소유하고 있고 TextBox 같은 WPF UIElements 요소들은 “쓰레드 선호도”라는 것이 있어 다른 쓰레드와 상호작용 할 수 없다. (UI 컨트롤은 다른 쓰레드에서 업데이트 할 수가 없다.)
n 즉 화면을 그리는 쓰레드는 컨트롤들을 소유하고 다른 쓰레드에서는 직접 접근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를 쓰레드 선호도라 한다.
n WPF에서 멀티 쓰레드 처리를 위해서 Dispatcher를 이용할 수도 있고 Background Worker를 사용할 수도 있다.
1.5.1 Dispatcher를 이용한 WPF 멀티쓰레드 프로그래밍
n 모든 비주얼 객체(TextBox, Button등)는 DispatcherObject 클래스를 상속받고 있으며 DispatcherObject가 UI 쓰레드의 Dispatcher 를 얻을 수 있게 해준다. 결국 이 Dispatcher 때문에 다른 쓰레드에서 UI 컨트롤을 변경 할 수 없는 것이다.
n TextBox 같은 컨트롤을 다른 쓰레드에서 수정하려면 Dispatcher를 통해서 해야 된다는 것이다.
n Dispatcher는 System.Windows.Threading.Dispatcher 클래스의 인스턴스로 응용 프로그램 쓰레드를 소유(쓰레드에 속한 모든 개체를 소유)하고 작업 항목의 대기열을 관리하는데 각각의 우선 순위를 사용하여 FIFO (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UI 작업을 실행한다. 새 스레드를 만들지 않는다. 즉 멀티 스레드가 아니다.
n DispatcherObject 클래스의 멤버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n 하나의 쓰레드에서 UIElement를 만들면 Dispatcher도 만들어지는데 새로운 TextBox를 만들면 거기에 따라 Dispatcher 객체도 만들어 진다.
n 대부분의 UI 객체(TextBox등)는 DisplatcherObject에서 파생되는데 이것은 Dispatcher와 연결된 객체라고 보면 된다.
n 만약 잘못된 쓰레드가 UI 객체에 접근하려고 하면 DispatcherObject의 VerifyAccess() 메소드가 “InvalidOperationException”을 던지도록 되어 있다. (WPF는 쓰레드의 잘못된 접근을 막기 위해 VerifyAccess 메소드를 자주 호출한다.)
n 아래 코드를 보자. (Invalid Operation Exception이 발생한다.)
n 위 코드를 Dispatcher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재작성 할 수 있다.
(Dispatcher의 BeginInvoke를 사용하면 해당 메소드의 실행이 마무리 될 때까지 블록킹 된다.)
1.5.2 Background Worker를 이용한 WPF 멀티쓰레드 프로그래밍
n Windows 응용 프로그램 멀티 쓰레딩에서 가장 어려운 개념은 다른 스레드에서 UI를 변경할 수 없다는 것이다. 대신 UI스레드에서 메소드를 호출해야 원하는 변경이 이루어 진다.
n 백그라운드 워커(Background Worker)는 System.ComponentModel 아래의 클래스로 코드를 별도의 쓰레드에서 동시에 비동기적으로 실행하게 해 주는데 응용프로그램의 기본 쓰레드와 자동으로 동기화 해준다. 호출 쓰레드는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고 Background Worker는 백그라운드에서 비동기적으로 실행된다.
n 백그라운드에서 작업을 실행하고 UI 실행등을 연기하는데 사용되는데 사용자는 UI가 계속 반응하기를 원하면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한다든지, 오래 걸리는 작업이 있어 진행사항을 표시해야 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처리 등에 유용하다.
n Background Worker에서 일어나는 작업에 대해 변경이 생길 때 호출되는 ProcessedChanged 이벤트,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무언가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RunWorkerCompledted 이벤트가 발생한다.
n DoWork 이벤트에서 백그라운드 쓰레드가 할일을 기술하는데 DoWork 이벤트 처리 메소드 내용은 다른 백그라운드, 다른 쓰레드에서 처리되므로 UI쪽을 접근할 수 없는데 ReportProgress() 메소드를 호출하면 ProcessChanged 이벤트가 발생하여 UI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n ProgressChanged 및 RunWorkerCompleted 이벤트는 BackgroundWorker가 만들어지는 것과 동일한 스레드에서 실행된다.
n BackgroundWorker는 일반적으로 기본/UI 쓰레드이므로 UI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따라서 실행중인 백그라운드 작업과 UI간에 수행 할 수있는 유일한 통신방법은 ReportProgress() 메서드를 사용하는 것이다.
n DoWork 이벤트 처리 메소드 내부에서 파라미터가 필요하면 백그라운드 워커를 호출하는 RunWorkerAsync() 메소드의 인수로 넣어주면 된다.
n DoWork 이벤트 처리 메소드 내부에서 e.Result 등으로 어떤 결과값을 넣어두면 RunWorkerCompledted 이벤트 처리 메소드에서 e.Result 형태로 꺼내볼 수 있다.
1.5.3 Background Worker를 이용한 WPF 멀티쓰레드 프로그래밍 실습
[간단히 Backgroud Worker를 사용한 예제를 작성해 보자.]
n 숫자를 입력하면 백그라운드 워커를 통해 ProgressBar에 진행 사항을 표시하고, 리스트 박스에 짝수들을 출력, 그리고 합을 구해 출력하는 예제이다.
n 1. BackgroundWorkerTest 하는 이름으로 WPF 프로젝트 생성
n MainWindow.xaml 파일을 더블클릭 후 디자인 화면에서 아래와 같이 디자인 하자.
- Label (Content 속성 : “숫자를 입력하세요”)
- TextBox (Name 속성 : txtNumber, Text 속성 : “”)
- Button(Name 속성 : btnStart, Text 속성 : “실행”)
- Button(Name 속성 : btnCancel, Text 속성 : “중단”)
- ProgressBar(Name 속성 : progressBar)
- ListBox(Name 속성 : lstNumber)
- Label(Content 속성 : “합계는”)
- TextBlock(Name 속성 : tblkSum, Text 속성 “”)
n MainWindow.xaml
n MainWindow.xaml.cs
댓글 없음:
댓글 쓰기